검색결과1건
경제

미국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 90% 이상 싹쓸이 논란

미국이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3개월치 물량을 싹쓸이했다. 3일(한국시간) CNN방송과 AFP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9월 말까지 길리어드사가 생산하는 렘데시비르 물량의 92%를 구입했다. 매체들은 7월 생산 예상량의 100%를 샀고, 8월과 9월 생산량의 90%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. 이는 50만회 이상의 치료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분량인 것으로 알려졌다. 렘데시비르는 미국 식품의약국(FDA)으로부터 긴급사용 승인을 받은 유일한 코로나19 치료제로 길리어드가 특허를 갖고 있다. 알렉스 에이자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보도자료에서 "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이 최초의 승인된 치료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놀라운 계약을 타결했다"고 밝혔다. 길리어드는 10월까지 50만회 이상, 12월까지 200만회 이상의 치료과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렘데시비르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. 하지만 이 약이 전세계로 배포될지는 불분명하다고 CNN은 전했다. 길리어드는 지금까지 약 14만회 치료 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150만회 투여분을 전 세계에 기증했다. 또 인도, 이집트, 파키스탄 등의 5개 복제약 제조사와 협약을 통해 127개의 저소득국 공급을 위한 렘데시비르 생산을 허용했다. 하지만 미국의 렘데시비르 싹쓸이를 둘러싼 시선은 곱지 않다. 전 세계적으로 렘데시비르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. 앞서 길리어드는 코로나19 치료에 5일이 걸린다고 가정할 경우 미국에서 민간보험 가입자는 3120달러, 공공보험 가입자는 2340달러를 약값으로 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. 김두용 기자 kim.duyong@joongang.co.kr 2020.07.03 09:33
브랜드미디어
모아보기
이코노미스트
이데일리
마켓in
팜이데일리
행사&비즈니스
TOP